조선 전기의 사회와 성리학의 발달


조선 전기의 사회와 성리학의 발달

1. 조선의 신분 구조 1) 양반 (1) 관리의 가족 및 가문들 (2) 유향소를 통해 향촌자치 주도 2) 중인 (1) 양반과 상민의 중간 계층, 기술관들 (2) 기술관 = 잡과를 통해 선발(직역을 세습) (3) 역관 = 사신을 수행하면서 통역을 담당함 (4) 향리 = 수령을 보좌하며 행정 실무를 담당함 3) 상민(평민) (1) 농민, 수공업자, 상인 등 대부분의 백성 (2) 수공업자 = 공장안에 등록되어 수공업 제품 생산을 담당함 (3) 신량역천 = 양인 신분으로 천역에 종사함 (4) 법적으로 과거 응시는 가능 4) 천민 (1) 노비 = 매매, 상속, 증여의 대상이 됨(장례원을 통해 국가의 관리를 받음) (2) 공노비 = 소속 관청에 매년 신공을 바침 (3) 백정 = 화척(고려시대), 양수척 등으로 불림 (4) 일천즉천이 원칙 = 부모 중 한명이 노비이면 그 자식도 노비가 됨 2.

가족제도 1) 남녀 구별없이 자녀에게 재산 균분 상속 2) 아들 딸 구별 없이 태어난 순서대로 족보에 ...



원문링크 : 조선 전기의 사회와 성리학의 발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