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pixabay “상장폐지 전 ‘이런 징후’들 보인다···투자자 유의” 상장폐지 전 이를 알아챌 수 있는 징후들이 감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개 관리종목 지정, 횡령 등 문제들이 사전적으로 터진 뒤 3년 이내 상폐가 결정됐다.
금융감독원은 2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최근 상장폐지기업의 사전징후에 따른 시사점’을 발표했다. 2017년 이후 유가증권·코스닥시장에서 상장폐지 된 75개 기업을 대상으로 폐지 전 재무·비재무적 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다. 그 결과 올해 6월 기준 상장폐지 기업은 9개사였다.
지난 2019년(4개사), 2020년(15개사), 2021년(20개사)로 해마다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전체 75개사 중 감사의견 거절 등 형식요건에 의한 상장폐지가 59개사(78.7%), 상장적격성 실질심사에 따른 상장폐지가 15개사(21.3%)로 집계됐다.
파이낸셜뉴스, https://www.fnnews.com/news/202211021422558292, 기사 일부 발췌 앞서...
#횡령배임혐의
#자본잠식
#실질심사
#손익악화
#상장폐지
#상장적격성
#불성실공시법인
#부도파산확정
#최대주주변경
#정기보고서
#회계위반
#기업계속성
#관리종목지정
#경영투명성
#감사의견비적정
#형식요건
#조기상환청구
#주식관련사채
#증권신고서
#퇴출제도
#청약납입미달
#유상증자
#소액공모
#사모
#만기전취득
#기한이익상실사유발생
#기업부담완화
#경영권변동
#CB
#BW
원문링크 : 상장폐지기업 시사점 (feat. 사전징후) : 형식요건, 관리종목지정, 실질심사, 적격성, 감사의견비적정, 횡령배임, 불성실공시법인, 최대주주변경, CB, BW, 유상증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