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pixabay 22년 동안 '평일'이었던 한글날, 역시 '이 대통령' 때 빨간날 됐다 개천절에 이어 또 한 번 휴일을 만끽하게 해준 이 한글날은 한 번 없어졌다가 다시 부활한 공휴일이다. 일제강점기가 끝난 시기인 1946년에 10월 9일을 공식 날짜로 지정, 1949년 '관공서의공휴일에관한건'을 첫 제정하면서 공휴일로 지정됐다.
한글날은 수십년간 공휴일로 유지됐지만 1991년 달력에서 지워지는 비운을 맞이하게 됐다. 노태우 전 대통령은 10월에 통상 추석 연휴가 있으며 개천절(3일) 등 쉬는 날이 너무 많아 경제 발전에 지장을 준다는 이유로 공휴일에서 밀어냈다.
이후 한글학회 등 단체들의 노력으로 2005년 12월 8일 '한글날 국경일 지정 법안'이 통과, 2006년 노무현 전 대통령의 참여정부 때 국경일로 격상되는 쾌거를 이뤘지만 공휴일까지는 되지 않았다. 모두가 공휴일이 될 수 없을 거라 낙담할 때 뜻밖의 인물이 한글날이 공휴일이 될 수 있도록 나섰다.
바로 이명박 전 ...
#31절
#삼일절
#설날연휴
#성탄절
#식목일
#신정
#어린이날
#이명박
#임시공휴일
#제헌절
#지방선거일
#추석연휴
#평일
#한글날
#부처님오신날
#대통령선거일
#개천절
#공휴일
#광복절
#구정
#국가기념일
#국경일
#국군의날
#국회의원선거일
#노무현
#노태우
#대체공휴일
#대체휴일제도
#대통령
#현충일
원문링크 : 국경일, 국가기념일, 공휴일, 대체공휴일 알아보기 : 대체휴일제도, 2022년, 2023년, 2024년, 식목일, 현충일, 제헌절, 광복절, 성탄절, 삼일절, 어린이날, 법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