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사회동향 2024


한국의 사회동향 2024

한국의 사회동향 2024 2024.12.19 통계청 한국의 사회동향 2024 「한국의 사회동향 2024」요약 Ⅰ 인구, 가구‧가족, 사회통합 영역 2020년 40대 미혼자 비율이 2000년 대비 남성 6.7배, 여성 5.7배 증가 ㅇ 혼인시기의 지연과 생애미혼의 증가로 2000년 이후 20~40대 미혼자 비율 증가세 지속 - 남성은 미혼자가 유배우자보다 고용률(주로 일하였음)이 낮고, 여성은 미혼자 고용률이 더 높음 ㅇ 19~34세 미혼자의 결혼의향은 남성이 여성보다 높고, 교육, 경제, 주관적 건강 수준이 좋을수록 높음 인구수 대비 미혼자 비율 출처: 통계청, 「인구총조사(1% 표본)」 원자료.

[5~6쪽] 1. 미혼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가치관 변화 2000년 이후 지역 간 인구불균형은 출생보다 지역간 인구이동이 더 주요한 요인 ㅇ 2020년 수도권 인구는 전국의 50.2%이고, 비수도권 5개 광역시 인구는 5년 전보다 1.7~3.2% 감소 ㅇ 20~30대는 2023년 국내...



원문링크 : 한국의 사회동향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