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성학 어센던트 AC(상승점)에 대한 해석과 의미에 대하여 (#1)


점성학 어센던트 AC(상승점)에 대한 해석과 의미에 대하여 (#1)

오늘은 점성학의 용어로 어센던트라고 불리면서 다른 용어로 상승점이라하며 라이징사인이라고 하는 AC에 대하여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앞전에 하우스별 분기별 계절과 인생흐름도에 대하여 알려드렸는데요 (모르신다면 12하우스 카테고리 참조) AC는 해가 뜨는 시점(일출)으로 시작하는데 해가 사라지는 시점이 되는 DC(일몰)과 반대되는 지평선 또 점성학에서 낮의 차트와 밤의 차트를 구분하는 지평선이며 1하우스랑 같은 개념으로서 타고난 자신의 외모적 부분이나 선천적으로 타고난 성격이나 성질을 담당하는것 입니다 그러나 이 상승점은 각 네이탈차트 마다 다르게 나옵니다 플라시두스, 포피리, 알카비투스, 레기오몬타누스 등등 위와 같은 개념은 대부분 점성학을 공부하시는 분들은 홀사인차트를 기준으로 두기에 위같이 설명을 드리며 그리고 ac는 하우스의 시작점이라하여 커스프라고 하는데 즉 1하우스의 커스프는 ac(상승점)이라고 설명합니다 또한 점성학에서는 주로 천궁도를 4등분을 나누는 부분이 많은데 흔히말해...


#1하우스 #앵글 #외모 #일출 #점성술 #점성학 #지평선 #천궁도 #커스프 #앵귤러 #성질 #4등분 #AC #낮의차트 #라이징사인 #밤의차트 #상승점 #선천적 #성격 #쿼드런트

원문링크 : 점성학 어센던트 AC(상승점)에 대한 해석과 의미에 대하여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