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갑습니다. 아신l탐랑성군 입니다 앞전에 십성(육신)에 대하여 알려드렸는데요 그러면 십성에 대한 활용함에 있어서 이것들은 어떻게 활용할까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예시를 들어 십성에서는 무자와 다자가 존재하는데 무자는 말 그대로 한개도 없다는 것입니다.
허나 일간의 비겁 즉 본원이자 (아신)은 존재하지만 일간에 있는것만으로도 없다고도 보기는 합니다. 또한 십성에서 갯수에 따라 나뉘어 집니다 0개는 부족, 1~2개는 적정, 3개는 발달, 4개이상은 과다 그렇다면 비겁은 어떻게 활용해야 될까 보자면 1~2개의 적정한 십성은 단식으로는 알기 어렵습니다 허나 0개는 무자 이자 다자로 보기때문에 비겁은 또 다른 나이자 경쟁, 친구, 동료들을 뜻하고 다른 의미로는 나의 의지, 고집, 주관, 협력심등을 뜻함 그래서 0개는 본질적인 해석은 친구가 없거나 나의 의지가 부족하기에 의지성이 약하다 볼수 있고 협력심도 없고 개인주의 허나 0개는 없는거에 결핍때문에 4개이상처럼 다자로 봄 친구를 많이 만들며...
#개인주의
#비다
#사주
#사주팔자
#십성
#육신
#의리
#의욕
#의지심
#비견
#비겁다
#겁다
#겁재
#단체주의
#동료
#무겁재
#무비겁
#무비견
#비겁
#친구
원문링크 : 단식주의) 사주팔자 십성(육신) 무자와 다자에 관한 해석과 의미들(#13) -무비겁,비겁다자-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