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녹색 - 기준금리 파랑 -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무위험 채권) 빨강 - 하이일드(초위험 채권) 정상적인 채권 그래프는? 하이일드(초위험) 10년물 국채(안전자산) 기준 금리 이게 정상화가 되려면 하이일드가 초위험 채권이니 수익률이 가장 높아야 하고 다음이 10년 국채 다음이 기준금리여야 하는데 현재 하이일드 스프레드가 가장 낮은 상태로 채권시장은 심각하게 왜곡되어 있음 비정상적이란 말임 현재 무위험 채권 수익률(5%) HY수익률(8.8%) 채권투자자 입장에서 누가 하이일드 채권에 투자 하겠음?
무위험 수익률이 5%인데 녹색 - 기준금리 파랑 -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무위험 채권) 빨강 - 하이일드(초위험 채권) 닷컴버블때든 금융위기 때든 베어스티프닝(장기금리가 단기금리 보다 빠르게 상승) 하이일드 스프레드를 축소 : 하이일드 수익률이 낮아지거나 국채수익률이 높아지거나 하이일드 스프레드를 확대 : 하이일드 수익률이 높아지거나 국채수익률이 낮아지거나 2000년대 들어서 하이일...
#경기침체
#채권정상화
#채권전망
#증시저점
#연착륙
#소프트랜딩
#베어스티프닝
#미국경기침체
#나스닥전망
#나스닥저점
#하이일드스프레드
원문링크 : 채권 시장은 경기침체를 가리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