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폭발 고체는 열분해, 액체는 증발을 거쳐 화재로 진행하지만 기체의 경우 열분해와 증발이라 는 과정이 필요없이 급격히 연소하여 온도 상승으로 인한 체적 팽창으로 인하여 폭발음 과 물리적 파괴력을 가지게 된다.
즉, 급격한 연소로 볼 수 있다. ※ 산화반응 속도 : 폭발 > 연소 물리나 화학적 변화에 의한 계의 일을 통해 폭음을 수반하는 현상 가. #폭연 (Deflagration : [dèfləɡréiʃən] 화학 폭연(爆燃)(작용) 인화성 가스의 폭발 : 폭발적으로 연소하는 현상 ① 급격한 압력의 증가로 인해 격렬한 음향을 발하며 팽창하는 현상 ② 발열반응으로 연소의 전파속도가 음속보다 느린 현상 ⊙ 화염전파속도 (300m/s 이하) < 음속 (340m/s) 나.
#폭굉 (Detonation : [detəˈneɪʃn ] 폭발, 폭파) ① 폭발 중에서도 격렬한 폭발로서 화염의 전파속도가 음속보다 빠른 경우로 파면선단에 #충격파 (압력파)가 진행되는 현상 ② 연소속도 : 1,0...
#가연성
#액화가스
#에틸렌
#증기운
#증기폭발
#충격파
#탄산칼슘
#파이어볼
#폭굉
#폭발
#아세틸렌
#시멘트
#기계적
#디토네이션
#물리적
#분진
#분진폭발
#분해폭발
#블래비
#산화에틸렌
#석회석
#폭연
원문링크 : 폭발 (물리적 폭발과 화학적 폭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