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절약계획서] 01 작성기준 및 지역구분 [에너지절약계획서] 01 작성기준 및 지역구분](https://mblogthumb-phinf.pstatic.net/MjAyMTAyMjVfMyAg/MDAxNjE0MjI2NDk5MTMw.BhSaKD7H3QJoVZk5gDl_MAhO3kPSvuB_tFePXoh5tXog.dNlaCP401UmQWuQ7YHN3YrCKIHHrkzlGf_qgy5JhNoUg.JPEG.rmstjd11/%C1%F6%BF%AA%B1%B8%BA%D0.jpg?type=w2)
안녕하세요. 건춘기입니다.
오늘은 에너지절약계획서를 작성순서의 첫걸음인 지역구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에너지절약계획서 기준 내 건물이 500제곱미터가 넘는다?
그럼 빼박 1. 우선 에너지 절약계획서(EPI)는 건축물 인허가 시 바닥면적 500이상인 건물에서는 반드시 작성해야합니다.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시행령 제 10조 - 에너지 절약계획서 제출대상 등) 2. 이 에너지절약계획서는 건축, 기계.
전기 각 공종별로 그 적정성에 점수를 부여합니다. 하지만 그 점수는 (민간/공공기관)이냐에 따라 받아야하는 점수가 다릅니다.
민간 : 65점 이상 / 공공기관 : 74점 이상 입니다. 즉, 공공기관이 조금 더 우리의 야근을 높힌다는 거죠?
3. 또한 건축주의 대리인인 건축설계사무소가 인허가를 대행한다면 2018년도 이전에는 중부지역,남부지역, 제주도의 3지역으로만 나뉘어졌지만 중부1지역, 중부2지역, 남부지역, 제주도의 4지역으로 나뉘었습니다.
중부1지역의 경우는 단열기준...
#EPI
#녹색건축
#에너지절약
#에너지절약계획서
#에너지효율등급
#인증
#지역
원문링크 : [에너지절약계획서] 01 작성기준 및 지역구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