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탈 시설화는 장애인을 시설이 아닌 지역사회로 이동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관련 조치를 지칭한다. 즉, 시설이 아닌 지역사회 내에서 이들을 위한 적절한 대안,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탈 시설화는 매우 중요하며 이를 중심으로 복지정책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완전한 탈시설화보다는 탈 시설화를 중심으로 하되 어느 정도 거주시설도 함께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 이유는 탈 시설화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인데 대표적인 단점으로는 가족에 따른 저해요인으로 가족들이 돌봄에 대한 부담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에 따른 저해 요인으로 아직 사회적 인식, 편견이 존재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완전한 탈 시설화가 이루어지면 주민과의 갈등, 잘못된 인식과 편견이 커지게 되면서 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시설을 유지하면서 탈 시설화가 중심이 되는 쪽으로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
#장애인을시설이아닌지역사회로이동
#탈시설화추진
원문링크 : 탈 시설화를 추진한다고 하더라도 모든 거주시설을 완전히 없애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비판이 존재한다. 이러한 비판에 대하여 찬/반 토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