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의 외적 변화(평균 수명의 연장, 자녀의 감소 등)에 따른 가족생활주기 변화를 생각해 보고 앞으로 어떻게 달라질지 논의해 봅시다.


가족의 외적 변화(평균 수명의 연장, 자녀의 감소 등)에 따른 가족생활주기 변화를 생각해 보고 앞으로 어떻게 달라질지 논의해 봅시다.

사회 변화에 따라서 가족의 외적 변화도 다양하게 일어나고 있다. 가족생활주기는 크게 6개로 나눌 수 있는데 형성기는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본다.

그러나 자녀 출산 및 양육부터 변화가 일어날 것이다. 2021년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이 0.83명이었다. 부부가 결혼을 하여 아이를 한 명도 낳지 않는다는 것이다.

자연스럽게 가족 구성원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보통 부부와 자녀 2명이 일반적인 가족형태였다면 이제는 부부와 자녀 1명이 있는 가족도 점점 없어지고 있다.

자녀를 낳지 않으면서 자녀 교육기, 성년기, 결혼기도 변화할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는 특히 교육열이 매우 높은 편이다.

아이들이 없기 때문에 대학 정원, 교육의 질도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결혼을 안 하는 사회가 되면서 1인 가구가 늘어날 것이다. 2021년 기준 1인 가구가 전체 가구 중 40% 이상 차지하고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1인 가구는 더욱더 증가할 것이다. 다른 생활주기에 비해서 노년기는 증가할 것이다. ...


#가족생활주기 #가족생활주기변화 #가족의외적변화

원문링크 : 가족의 외적 변화(평균 수명의 연장, 자녀의 감소 등)에 따른 가족생활주기 변화를 생각해 보고 앞으로 어떻게 달라질지 논의해 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