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민지 근대화론이란 식민지 시기 일본에 의해 경제의 성장과 근대화 토대의 마련에 대해 인정하자는 취지로 1910년에서 1945년 조선에 대한 일제강점기 정책으로 조선을 개발하고 근대화로 이끌었다는 기조를 이끌고 있다. 반면 식민지 반봉건 사회론은 일본의 지배와 수탈로 자본주의 발전의 지체와 반봉건적인 전근대적 경제 체제의 유지가 이뤄졌다는 주장으로 우리나라만의 자생적 자본주의 체제에 있어 일본으로 인해 식민통치를 받게 되어 그 자리에 매판적이고 종속적인 자본주의가 기형적으로 발전했다는 주의이다.
이에 대해 식민지 근대화론은 우선 뉴라이트 중심의 친일파를 미화하는 주장으로써 일본과 친일파가 한국의 발전에 일조했다는 주장은 비틀린 역사상으로써 잘못된 논리를 지니고 있다. 일제는 헌법이 아닌 제령, 총독의 명령으로 인해 폭압적으로 통치함에 따라 생명 및 신체의 자유권은 물론 언론과 출판의 자유권 등 기본적 시민권을 인정하지 않았으며 한국의 정치와 문화를 탄압함에 따라 근대화는커녕 한반도의...
#식민지근대화론
#식민지반봉건사회론
#일제식민통치
원문링크 : 일제 식민 통치에 대한 논쟁으로 식민지 근대화론과 식민지 반봉건 사회론이 있다. 이를 간략하게 설명하고, 이에 대한 본인의 의견을 제시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