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어에서는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 발성 유형에 따라 19개의 자음이 음소로 존재하며 자음 목록에서는 방언적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경상도의 일부 지역 방언에서는 치경 마찰음의 발성 유형 대립[ㅅ, ㅆ]이 없어 자음 목록이 표준어인 서울 방언 및 여타 지역 방언에 비해 하나가 적은 18개의 자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이 지역 방언 화자들에게는 [살:fresh],와 [쌀:Rice]의 대립이 존재하지 않는다. 반면 한국어 모음은 자음에 비해 방언적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표준 발음법에서의 단모음 체계는 10 모음 체계이지만 [ㅚ, ㅟ]를 이중모음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해 8 모음 체계까지도 인정한다. 또한 현실 발음에서 많은 사람들이 [ㅐ, ㅔ]도 구별하지 못해 7 모음 체계 또한 가진다.
실제 발음에서 노년층 이하의 표준어 화자들은 이를 구분하여 발음하거나 듣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네:You]를 [니]로 발음하여 [새 잔:New]은 [쌔...
#각지역별자음과모음
#발성유형
#조음방법
#지역별특징적으로실현되는음운현상
#한국어에서조음위치
원문링크 : 각 지역별 자음과 모음의 목록에서 나타나는 특성과 각 지역별 특징적으로 실현되는 음운 현상은 무엇이 있는지 논의해 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