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준보육과정에서는 "놀이 중심" , "유아 중심"을 강조하면서 교사가 놀이 과정에 대해 이해하느냐 못 하느냐에 따라, 그리고 교사가 어떤 태도로 유아와 상호작용하고 놀이를 진행하며 발전시키느냐에 따라 활동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유아와 함께 만들어가는 놀이 중심을 실행하기 위해 교사는 우선 의도된 교육계획을 내려놓아야 하며 유아의 놀이 흐름에 맞추어 가정 적합한 교육적인 지원을 해야만 한다.
이러한 교사의 지원들은 유아의 놀이 상황에 따른 맥락을 이해하며 결정할 수 있는 교사의 능력을 필요로 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교사의 역할은 놀아주는 교사가 아닌 유아와 함께 놀이할 수 있는 교사이다.
유아와 함께 놀이하는 교사의 역할로는 편견을 내려놓고 있는 그대로 유아 놀이를 바라볼 수 있어야 하는 것을 포함하여, 유아의 놀이를 인정하고 수용하는 것, 유아와 함께 놀이하고 유아의 놀이를 이해하고 지원하는 것 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교사는 유아의...
#2020표준보육과정
#놀이중심
#유아와함께놀이할수있는교사
#유아중심
원문링크 : 2020 표준보육과정의 개정 핵심은"놀이 중심","유아 중심"에 있습니다. 교사의 지원 자세는 무엇일지 자신의 생각을 논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