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의 2가지 자기중심성에 대해 자신의 청소년기에 나타난 이 두 가지 중심성에 대해 논하고, 어떤 개입 태도를 제안할 수 있는지 진술하시오.


청소년기의 2가지 자기중심성에 대해 자신의 청소년기에 나타난 이 두 가지 중심성에 대해 논하고, 어떤 개입 태도를 제안할 수 있는지 진술하시오.

먼저 상상 청중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이는 '자신(청소년)을 지켜보고 있다고 생각하는 타인'을 뜻한다.

청소년들이 하는 요란한 옷차림이나 화장들은 이를 의식한 행동 양상의 결과물이라고 말할 수 있다. 청소년들은 상상 청중을 만들어낸다.

그런 뒤 자신이 주인공이 되어서 무대 위에 있는 것처럼 행동하며 타인들을 모두 구경꾼(청중)이라고 생각한다. 이처럼 상상 청중 현상은 시선 끌기 행동, 다시 말해서 타인들의 눈에 띄고 싶어 하는 욕망에서 비롯된다.

나의 청소년기를 돌아보면 나는 도서관에서 이러한 상상 청중 현상을 경험했던 것 같다. 생각해 보면 누구도 내가 무슨 책을 빌렸는지 관심이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나는 누군가 늘 나를 지켜보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나는 별 관심이 없는 어려운 책들을 골라 빌리곤 했다.

그 책을 빌리는 나의 모습을 본 사람들이 나를 똑똑하게 여길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만약 주변에 이런 현상을 보이는 청소년들이 있다면 나는 그것에 개입할 필요는 없다...


#상상청중현상 #청소년기의2가지자기중심성

원문링크 : 청소년기의 2가지 자기중심성에 대해 자신의 청소년기에 나타난 이 두 가지 중심성에 대해 논하고, 어떤 개입 태도를 제안할 수 있는지 진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