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도적 감정 표현의 원칙은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자신의 감정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그 내용이 설사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비난받을 만한 내용이라 하더라도 클라이언트가 자기 의지로 인해 충분히 자신의 감정을 드러냄으로써 스스로의 스트레스나 긴장을 덜어내고 자신의 문제 또는 현재의 상황에 대하여 보다 더 명확하게 바라볼 수 있게 하는 것을 말한다. 반면에 통제된 정서적 관여의 원칙은 클라이언트가 표현하는 감정에 대해 민감하고 세심하게 파악함으로써 객관적인 입장에서 그러한 감정에 대하여 이해하고 또 공감해 주는 등 반응을 해주는 것을 만 한다고 할 수 있으며 사회복지사로 하여금 이를 위해서는 잠재적인 의미까지 파악할 수 있는 전문적 능력과 기술이 필요하다.
인간이라면 자신의 감정에 대하여 숨기고 싶은 마음과 표출하고 싶은 마음이 공존하기 마련이다. 실제로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보면, 자신의 감정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함으로써 이에 대한 적절한 대처를 하지 못하...
#비에스텍
#사회복지실천의7대원칙
#통제된정서적관여의원칙
원문링크 : 사회복지실천의 7대 원칙 중 '의도적 감정 표현의 원칙' 과 '통제된 정서적 관여의 원칙'의 차이점에 대하여 기술하고 본인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원칙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