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결 시기가 되면 클라이언트에 따라서 긍정적, 부정적 감정 나타날 수 있는데 이중부정적 반응을 보이는 클라이언트의 경우 이별에 대해 상실감, 분노, 슬픔 등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상실의 두려움 또는 고통 회피로 인해 사회복지사와 관계를 지속시키고자 하는 모습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처럼 종결에서는 다양한 반응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사회복지사는 종결반응을 잘 다룰 수 있어야 한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감정에 대한 수용과 두려움, 불안 등 감정의 원인이 되고 있는 과거의 경험을 검토하고 돕는 과정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경험하고 있는 힘든 감정 상태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클라이언트와 함께 실천과정에서 해냈던 일에서 긍정적 측면을 볼 수 있도록 돕고 강점 인식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클라이언트 스스로 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사회복지실천과정에서종결의유형과반응 #사회복지사의역할 #종결단계사회복지사역할...
#사회복지사의역할
#사회복지실천과정에서종결의유형과반응
#종결단계사회복지사역할
원문링크 : 사회복지실천과정에서 종결의 유형과 반응, 종결반응을 다루는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종결단계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