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Berne)은 자아 상태를 기능적으로 분석하였는데, 부모 자아는 양육적 부모 자아(NP)와 비판적인 부모 자아(CP) 나뉩니다. 이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번(Berne)은 자아 상태를 기능적으로 분석하였는데, 부모 자아는 양육적 부모 자아(NP)와 비판적인 부모 자아(CP) 나뉩니다. 이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양육적 부모 자아는 어머니형, 비판적 부모 자아는 아버지 형이라고도 하며, 비판적 부모 자아라고 해서 나쁜 것이고 양육적 부모 자아라고 해서 좋은 것은 아니다. 양육적 부모 자아는 "네가 있어 참 좋아" , "잘했어" , "힘내자", "잘할 거야" 와 같이 늘 자녀를 격려하고 긍정적인 메시지로 아이를 자극해 준다.

하지만 지나치게 양육적 부모 자아가 높다면 매사에 자녀에게 간섭하거나, 매사에 자녀에게 간섭하며, 뭐든지 돌봐주려고 하므로 자녀가 성장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다. 아이가 부모의 사유물이 아니므로 언제나 알아서 잘해주는 부모보다는 긍정적인 메시지로 자녀를 자극해 주는 부모가 더 좋은 관계의 부모라고 생각한다.

비판적 부모 자아는 지나치게 높으면 칭찬보다는 질책하고 야단치며, 늘 명령하는 말투로 자녀를 위축되게 할 수 있다. 즉, 엄하게 자녀를 키우는 부모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비판적 부모 자아가 적절하게 높으면 스스로 가진 엄격한 잣대로 인해 자녀와의 사소한 약속도 잘...


#번은자아상태를기능적으로분석 #부모자아는양육적부모자아 #비판적인부모자아

원문링크 : 번(Berne)은 자아 상태를 기능적으로 분석하였는데, 부모 자아는 양육적 부모 자아(NP)와 비판적인 부모 자아(CP) 나뉩니다. 이에 대하여 서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