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단 따돌림을 경험하는 학생의 수는 전체 학생의 수 가운데 소수이다. 그렇기 때문에 피해 학생의 면담을 실시하는 사람은 그들의 학창 시절에 따돌림을 당해본 경험이 없을 가능성이 높다.
그렇기 때문에 따돌림을 당하는 학생이 받게 되는 스트레스와 상처를 상대방의 입장에서 이해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100% 내담자를 공감하기는 어려운 것이다. 그렇지만 반드시 해서는 안 되는 일이 있는데, 따돌림을 당한 학생(내담자)에게 어떤 문제가 있기 때문에 내담자가 따돌림을 당하게 되었을 것이라는 편견을 가지고 상담에 임하는 것이다.
'너에게 어떤 문제가 있기 때문에 네가 다른 학생들의 따돌림의 표적이 된 것일 것이다'라는 뉘앙스를 주는 말이나 행동은 피해 학생에게 2차 가해가 될 수 있다. 그런데 실제로 이런 일들이 적지 않게 일어난다.
특히 피해 학생들이 교사에게 피해 사실을 알리고 도움을 요청할 때 교사들이 이런 태도를 취해서 피해 학생이 교사에게 더 이상 도움을 기대하지 못하고 혼자 고...
#집단따돌림으로인해고통받고있는피해학생
#집단따돌림으로피해학생을면담할경우취할태도주의점
원문링크 : 집단 따돌림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는 피해 학생을 면담할 경우 취해야 할 태도와 주의해야 할 태도는 무엇인지 논의해 보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