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편주의는 보편자를 개별자의 상위에 두고, 후자는 전자에 참여함으로써 존재성과 의의를 갖게 된다는 것이다. 특수주의에 대치되는 개념으로 합리적, 보편적인 기준에 입각한 사회관계 및 행동양식을 의미한다.
사회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파슨스가 제시한 사회관계 행동 유형 변수에서 근대적 사회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행동 유형을 의미한다. 급여가 필요하지 않은 대상자들에게도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어서 급여의 낭비가 초래될 우려가 있다.
보편주의의 급여는 대상이 일정한 범위, 기준에 속하면 누구나 권리로 받을 수 있어서 자산조사 등으로 인한 낙인 문제가 없고 광범위한 지지 기반을 형성할 수 있고 사회통합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보편주의의 장점으로는 최저 소득을 보장함으로써 빈곤을 예방할 수 있다.
서비스를 제공받는 대상자들에게 심리적, 사회적 낙인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 국민에게 급여를 제공하기에 행정절차가 용이하며, 시혜를 균등하게 받을 수 있다.
보편주의를 채택한 나라를 살펴보면...
#보편주의
#사회복지정책의급여에서보편주의와선별주의의장단점
#선별주의
원문링크 : 사회복지정책의 급여에서 보편주의와 선별주의의 장단점에 대하여 토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