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3 수학에서는 고등학교 수학 교육의 기본이 되는 여러 개념들을 배우게 되는데요. 그 중 하나가 바로 이차함수입니다.
이차함수를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꼭짓점과 축의 방정식 개념을 잘 이해하고 계셔야 해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중3 수학에서 비중있게 다뤄지는 이차함수, 그 중에서도 이차함수 그래프의 꼭짓점과 축의 방정식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꼭짓점과 축의 방정식 개념 아래의 이차함수 그래프를 살펴봅시다. y =x2 + 4x + 5의 그래프에요. 꼭짓점이란 이차함수에서 최솟값 또는 최댓값이 되는 점을 말합니다.
이 그래프에서는 (-2, 1)이 꼭짓점이 되지요. 그리고 이차함수가 어떤 선분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룰 때, 그 선분을 축의 방정식이라고 합니다.
이 그래프에서는 x = -2가 축의 방정식이 돼요. 이처럼 꼭짓점과 축의 방정식은 이차함수 그래프 개형을 살펴보면 쉽게 구할 수 있지만, 이차함수를 제대로 이해했다면 그래프를 보지 않고 식만 보고도 식을 적...
#꼭짓점
#이차함수
#이차함수그래프
#중3수학
#축의방정식
#표준형
원문링크 : 이차함수 그래프 꼭짓점 및 축의 방정식 계산방법 (표준형 식, 중3 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