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비어천가 1장 2장 (원문 / 해석본 /의미)


용비어천가 1장 2장 (원문 / 해석본 /의미)

간혹 언론에서 특정한 정치인을 찬양하는 사람들의 태도를 비꼬고자 할 때, '용비어천가를 부른다'고 표현하는 것 같습니다. 조선 6대조 왕들에 대한 찬양이 비중있게 다뤄지기 때문이지요.

현재 우리나라 국어 교과서에서는 용비어천가 1장, 2장이 실려 있는데요. 이 작품의 개요와 함께 원문, 해석본, 그 속에 담긴 의미를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작품의 개요 조선 건국의 정당성과 영원성을 무려 125장으로 구성한 약장 서사시입니다. 훈민정음과 더불어 국어 교과서에 실려 있으며, 훈민정음으로 된 최초의 작품이기도 하답니다. 1장과 125장을 제외하면 2절 4구 형식으로 되어 있고, 전절은 중국 왕 및 성인의 사적을 찬양하고, 후절에는 조선 6대조의 사적을 찬영하는 식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110장부터는 앞으로 있을 후대 왕들에 대한 경계도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용비어천가 원문 용비어천가 원문은 아래와 같이 생겼습니다. 아마 대부분 원문만 봐서는 무슨 뜻인지 쉽게 이해가 되지 않을 거...


#용비어천가 #용비어천가1장 #용비어천가2장 #용비어천가원문 #용비어천가의미 #용비어천가해석 #용비어천가해석본

원문링크 : 용비어천가 1장 2장 (원문 / 해석본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