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커트 척도(Likert scale)는 문과 분야 대학원에 진학했다면 논문을 읽는 과정에서 반드시 꼭 보게 되는 설문조사 연구 방법론 중 하나입니다. 어쩌면 여러분이 추후 졸업논문을 쓰게 위해 진행되는 설문조사가 리커트 척도 기반으로 만들어질 수 있어요...
제가 지금 그렇거든요...ㅎㅎ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커트 척도(Likert scale)란 무엇이며, 어떻게 설문조사지를 만들어야 리커트 척도라고 할 수 있는지, 어떤 경우에 주로 사용하는지 디테일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리커트 척도란 무엇일까?
리커트 척도는 설문조사를 할 때 특정 사회 문제나 신념 등에 대한 개인의 태도를 측정할 때 사용합니다. 하지만 사람의 태도는 무조건 긍정적이거나, 무조건 부정적인 식으로 딱 두개로 갈라지지는 않죠.
누구는 강하게 긍정적일 수 있지만, 또 다른 누군가는 약간만 긍정적일 수도 있으니까요. 예를 들어, 모 정치인을 지지하는 사람들 중에서도 적극 지지하는 사람이 있고, 약간만 지지하는 사람도 ...
#리커트척도
원문링크 : 리커트 척도 알아보자 :: 제시된 문장에 얼마나 동의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