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오르는 현상입니다. 왜 물가가 오를까요?
우선 물가가 무엇인지 봅시다. 물가는 물건값입니다.
화폐로 환산됩니다. 빵 가격이 1000원 하다가 1200원 하면 물가가 20% 올랐다고 합니다.
빵 가격이 오르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 1) 빵 수요는 일정한데 빵 공급이 줄어들 경우 (코로나가 와서 공급 병목현상) 2) 빵 공급은 일정한데 빵 수요가 증가해서 (정부가 공짜 돈을 뿌려서) 최근에만 국한해 봅시다. 빵 수요가 줄었다는 말은 GDP가 감소했다는 말로 생각해 봅시다.
아직 연간으로 마이너스는 아닙니다. 증가율은 낮아진 것은 확실합니다.
GDP는 수요나 공급 관점에서 똑같습니다. GDP가 100이라면 수요도 100이고 공급도 100이라는 겁니다.
여하튼 최근에 빵 수요와 공급은 예전보다 증가율이 줄었지만 절대 수량으로는 증가해 왔습니다. 실질 GDP는 물가 상승을 감안하지 않은 것입니다.
빵 생산량이 얼마나 늘었느냐를 보는 겁니다.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인플레이션
원문링크 : <경제> 인플레이션을 화폐적 측면에서 볼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