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8%대를 유지 중이다. 물가가 일 년간 8% 올랐다는 것은 누가 봐도 심각하다.
아래 표에서 올해 성장률과 물가 예상치를 보자. 올해 미국 경제 성장률은 2.5% 전후로 예상된다.
물가 상승률은 7.2% 전망. 지난해 미국 성장률은 5.7%였다.
성장률이 지난해 높았지만 내년이면 기존 추세로 돌아간다. 따라서 물가 또한 기존 추세대로 돌아가야 한다. 2% 약간 위에서 움직이면 상관없다.
미국은 내년 상반기까지 금리를 올려서 인플레이션을 3% 정도로 안착시킬 예정이다. 지금의 8% 물가가 3%대까지 뚝 떨어져야 한다는 이야기다.
미국의 물가 상승 요인 에너지 가격 상승(유가, 천연가스) 곡물가 상승 집값 상승 중고차, 신차가격 상승 (반도체 공급난) 원자재 가격 상승 인건비 상승 집값 상승은 연준의 모기지 채권 (MBS) 매각으로 안정을 찾겠다는 것. 에너지, 곡물가격은 전쟁, 기후변화 등과 관련이 있다.
중고차 가격은 반도체 문제 해결과 공급망...
#인플레이션
원문링크 : 옐런, 인플레이션 잡는 것이 최우선 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