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7월 국민연금 인상 (ft.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 : 최저고보험료, A값, 건강보험, 고용, 산재, 장기요양, 지역직장가입자, 연금급여액, 617만원, 39만원, 기준


2024년 7월 국민연금 인상 (ft.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 : 최저고보험료, A값, 건강보험, 고용, 산재, 장기요양, 지역직장가입자, 연금급여액, 617만원, 39만원, 기준

이미지: pixabay 내달부터 월590만원이상 직장인 연금보험료 0∼1만2천150원 올라 내달부터 매달 590만원 이상의 월급을 받는 직장인의 국민연금 보험료가 인상된다. 본인 부담 기준으로 최소 0원 초과에서 최대 월 1만2천원가량이 오른다. 10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국민연금 보험료를 매기는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이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의 최근 3년간 평균 소득변동률(4.5%)에 맞춰 7월부터 손질된다.

기준소득월액 상한액은 590만원에서 617만원으로, 하한액은 37만원에서 39만원으로 각각 인상된다. 이 기준은 내년 6월까지 1년간 적용된다.

상한액 617만원은 월 617만원 이상의 소득을 올리더라도 월 소득이 617만원이라고 여기고 보험료를 부과한다는 뜻이다. 하한액 39만원은 월 39만 이하로 벌더라도 월 39만원을 번다고 가정해 보험료를 매긴다는 의미이다.

국민연금 보험료는 가입자의 기준소득월액에다 보험료율(9%)을 곱해서 매긴다. 기준소득월액 상한액이 상향됨에 따라 ...


#2024년국민연금인상 #기준소득월액확인 #노령연금 #사학연금 #산재보험 #상하한액인상 #소득상한액 #연금급여액 #유족연금 #장기요양보험 #장애연금 #최고보험료 #최저보험료 #특례제도 #기준소득월액이란 #국민연금보험료인상 #24년7월 #37만원 #39만원 #3년간평균소득월액 #4대보험 #590만원 #617만원 #건강보험 #고용보험 #공무원연금 #국민연금A값 #국민연금기준소득월액표 #국민연금법 #평균액A값

원문링크 : 2024년 7월 국민연금 인상 (ft.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 : 최저고보험료, A값, 건강보험, 고용, 산재, 장기요양, 지역직장가입자, 연금급여액, 617만원, 39만원, 기준

 등록된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