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국민연금 반납·추납·임의가입 ‘3종 세트’로 연금 늘려볼까 노후에 받을 국민연금을 늘릴 방법이 없을까. 서울 종로구 A(63)씨는 몇 년 전 우연히 보험료 반납 제도를 알게 됐다. 1990년대에 회사를 그만두면서 그 전에 납부한 연금보험료(115개월 치)를 일시금으로 받았었는데, 그걸 반납했다.
또 추후납부 제도에 따라 10개월 치 보험료를 냈다. 60세가 된 후에도 2년간 더 냈다(임의계속가입). 이렇게 해서 총 가입 기간을 12년 6개월로 늘렸다.
지난해 7월 62세가 되면서 63만원의 연금을 받게 됐다. 과거 보험료 반납이 연금을 늘리는 효과가 가장 좋다.
과거의 소득대체율이 적용되기 때문이다. 소득대체율은 1988년 70%→99년 60%→2008년 50%로 낮아졌고, 이후 매년 0.5%P 내려서 올해 42.5%가 됐다. 90년대 보험료를 반납하면 60~70%의 소득대체율을 적용받는다.
지난해 10월 기준 10만7569명이 이 제도를 활용했다. 과거 실직·사업중단 등으...
#가입기간인정
#국민연금추납보험료
#국민연금추납분할납부이자
#국민연금추납서류
#국민연금추납제도
#국민연금추납제도납입금액
#국민연금추후납부
#국민연금추후납부제도
#납부예외기간
#노령연금
#두루누리사회보험지원제도
#보험료미납기간
#장애연금
#적용기간제외
#국민연금추납가능기간
#국민연금추가산입
#국민연금반납금납부
#국민연금반납금납부신청
#국민연금반납금납부제도
#국민연금반환일시금
#국민연금반환일시금납부신청
#국민연금반환일시금반납제도
#국민연금반환일시금조회
#국민연금반환일시금지금청구
#국민연금반환일시금지급대상
#국민연금반환일시금체류자격
#국민연금추가납부대상
#국민연금추가납부방법
#국민연금추가납입
#지역가입자보험료지원제도
원문링크 : 국민연금 알아보기(13) (feat. 추후납부, 반납) : 추가산입, 반환일시금, 반납금, 가능기간, 대상, 분할납부, 납부예외기간, 임의, 가입기간인정, 두루누리, 지역가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