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순위] 국내 인터넷은행 수익성, 유동성, 자산, ROE, ROA, 자본 및 이익 잉여금 등 순위 - 2022년 3분기 주식회사 토스뱅크,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은행 순위] 국내 인터넷은행 수익성, 유동성, 자산, ROE, ROA, 자본 및 이익 잉여금 등 순위 - 2022년 3분기 주식회사 토스뱅크, 카카오뱅크, 케이뱅크](https://mblogthumb-phinf.pstatic.net/MjAyMjEyMDVfMTk5/MDAxNjcwMjE2MzY1NTUy.QQYnyeeQUcFusfB1neL9fSJerIxnLLuL8VTbDezJrJcg.NgiVwTf5xFxpONP9zZxGu8FzCUmZ4bbpvQ-UYzCPY-8g.PNG.owls3753/image.png?type=w2)
2022년 3분기 인터넷 은행 순위를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부엉이입니다. 2022년 3분기의 인터넷뱅크 실적이 모두 발표되었습니다.
오늘은 국내에서 영업 중인 인터넷 은행인 토스뱅크, 카카오뱅크, 케이뱅크에 대한 다양한 순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본적정성 - BIS자기자본비율 자본적정성(%) 카카오뱅크 37.10 케이뱅크 14.51 토스뱅크 11.35 자본적정성은 BIS자기자본비율(총자본비율)로 평가를 하게 되는데, 말 그대로 총 자본 중 자기자본의 비율을 말합니다.
총자본비율이 높은 은행은 카카오뱅크가 37.10%로 가장 높았고, 케이뱅크, 토스뱅크가 뒤를 잇고 있습니다. 자산건전성 - 고정이하여신비율 자산건전성(%) 토스뱅크 0.23 카카오뱅크 0.29 케이뱅크 0.76 자산건전성의 경우 고정이하여신비율을 활용하는데, 총 여신액 중 3개월 이상 연체가 발생한 비율을 계산하게 됩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케이뱅크가 0.76%로 가장 높았고, 카카오뱅크(0.29%)와 토스...
#영업이익
#유동성
#이익잉여금
#인터넷은행
#자본잉여금
#주식roe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뱅크
원문링크 : [은행 순위] 국내 인터넷은행 수익성, 유동성, 자산, ROE, ROA, 자본 및 이익 잉여금 등 순위 - 2022년 3분기 주식회사 토스뱅크, 카카오뱅크, 케이뱅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