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활상태는 윤활제의 유막 두께에 따라 유체윤활, 경계윤활, 극압 윤활로 분류 ⊙ 유체 윤활 : 완전윤활, 후막 윤활 , 마찰계수 0.01 ~ 0.05 ⊙ 경계 윤활 : 윤활 부위에 하중이 증가하거나 속도가 저하될 경우 윤활제의 점도가 낮아 지고 유막의 두께는 점점 얇아져서 국부적으로 금속 접촉점이 발생, 마찰계수 0.08~0.14 ⊙ 극압윤활 (EP -extreme-pressure lubrication) : 마찰면의 접촉 압력이 높아 유막의 파단이 일어나기 쉬운 상태가 되면 융착과 소부 현상이 일어난다. 마찰계수 0.25 ~ 0.4 윤활유의 종류 : 액상 윤활유, 반고체상의 그리스 및 고체 윤활유 SAE 분류 : 윤활유의 점도에 따른 분류 SAE 등급에서 W는 겨울용이라는 뜻이고 숫자 가 클수록 점성이 커진다.
점도 지수 : 점도 지수는 온도의 변화에 따른 윤활유의 변화를 나타내는 수치, 즉 지수로 서 단위를 사용하지 않는다. VI (Viscocity inex) 값은 100을...
#그리스
#유화제
#윤활유
#인화점
#잔류탄소
#점도
#증주제
#첨가제
#칼륨
#칼슘
#파라핀계
#유동점
#위험물
#기어유
#나트륨
#나프텐계
#뉴턴유체
#동점도
#리튬
#산화
#소포제
#실린더유
#열전도
#휘발성
원문링크 : 윤활제의 선정 오답 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