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이오드 다이오드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하나의 반도체에 결합한 구조로 2개의 전극을 가진 소자이다. p-n 접합 다이오드는 보통 규소로 만들어지지만, 저마늄이나 갈륨-비소가 사용되기도 한다.
첨가해 주는 불순물의 종류에 따라 음전하 운반체(전자)를 갖고 n-형 반도체 특징을 보이는 영역이 생기기도 하며, 양전하 운반체(정공)를 갖고 p-형 반도체 특징을 보이는 영역이 생기기도 한다. 이러한 n-형과 p-형 반도체가 접합되면 처음에는 n-형에서 p-형 쪽으로 전자가 순간적으로 흐르게 되고 그 결과 전하 캐리어가 존재하지 않는 제3영역이 생기게 되는데 이 영역을 결핍 영역(depletion region)이라고 한다. p-n 접합이라 불리는 두 영역 사이의 경계에서는 다이오드의 작용이 일어난다.
매우 높은 전위차가 n-형과 p-형 반도체 사이에 존재하게 되면, n-형 반도체에서 p-형 반도체 쪽으로 핍 영역을 지나 전자가 흐르게 한다. 이러한 접합은 전위차가 역방향으로 가...
#MOSFET
#트랜지스터
#컬렉터
#컨버터
#집적회로
#저항온도계수
#인버터
#이미터
#서미스터
#사이리스터
#베이스
#바리스터
#래칭전류
#다이오드
#감열저항체
#트리거
원문링크 : 반도체 소자의 종류 (다이오드, 트랜지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