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구우후 계구우후(鷄口牛後) 鷄 : 닭계, 囗 : 입구, 牛 : 소 우, 後 : 뒤 후/임금 후 「닭의 부리와 소의 꼬리」라는 뜻으로,큰 단체(團 體)의 말석(末席)보다는 작은 단체(團體)의 우두머리가 되라는 말 [유래] 戰國時代(전국시대) 중엽, 東周(동주)의 도읍 洛 陽(낙양)에 蘇秦(소진: ?~B.C.317)이란 縱橫家 (종횡가: 모사)가 있었다.
그는 合縱策(합종책)으로 입신할 뜻을 품고, 당시 최강국인 秦(진)나라의 東 進(동진)정책에 戰戰兢兢(전전긍긍)하고 있는 韓 (한).魏(위).趙(조).燕(연).齊(제).楚(초)의 6국을 순방하던 중 한나라 宣惠王(선혜왕)을 알현하고 이렇게 말했다. “전하, 한나라는 자세가 견고한데다 군사도 강병으로 알려져 있사옵니다.
그런데도 싸우지 아니하고 진나라를 섬긴다면 천하의 웃음거리가 될 것이옵니다. 게다가 진나라는 한 치의 땅도 남겨 놓지 않고 계속 국토의 할양을 요구할 것이옵니다.
하오니 전하, 차제에 6국이 남북, 즉 세로[縱]로 손을...
원문링크 : 고사성어-계구우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