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승덕의 냉정과 열정사이] '장수 리스크' [박승덕의 냉정과 열정사이] '장수 리스크'](https://mblogthumb-phinf.pstatic.net/MjAyNDAzMjNfNDIg/MDAxNzExMTQ4MzI3ODkx.Fb7_CWz4ft4tIQ1dOGDWV7mXtct58CpidgW79NJBbiEg.LiVBa-WWGPIbn41dy3hVbsziTjkMC2K-PvDXdqJtZ_0g.JPEG/photo-1605950931390-83f4107ea7a0.jpg?type=w2)
[박승덕의 냉정과 열정사이] '장수 리스크' jonecohen, 출처 Unsplash 메트로신문 박승덕 기자 ㅣ2024-03-22 07:00:06 [메트로신문] 3~5년 주기로 개정하는 보험개발원의 경험생명표(제10회)에 따르면 국내 남성 평균 수명은 86.3세, 여성은 90.7세다. 5년 전보다 각각 2.8년, 2.2년 늘었다. 인간의 죽음은 피할 수 없다.
통상 상가에서 호상과 애상을 말한다. 평범한 죽음의 경우 평균 수명 이상을 살았는 지가 가늠자다.
보험개발원은 "의료기술의 발달과 생활 수준의 향상 등으로 사망률이 개선됨에 따라 평균수명도 늘어난 것"이라며 "평균수명 및 고연령의 기대여명이 늘어남에 따라 은퇴 이후 노후 의료비 또는 소득 보장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한다. 오래 살 위험이 화두다.
장수 리스크다. 실제로 일본을 뒤따라 가는 우리나라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다.
초고령사회는 만 65세 이상의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 이상인 경우를 말한...
원문링크 : [박승덕의 냉정과 열정사이] '장수 리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