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자 98%는 5000만 원도 없다"… 과연 그럴까요?


"예금자 98%는 5000만 원도 없다"… 과연 그럴까요?

"예금자 98%는 5000만 원도 없다"… 과연 그럴까요? 5000만 원씩 분산예치, 통계 안 잡혀 한은, 1인당 예금 평균 '3365만 원' 예보료 인상, 대출 금리엔 적용 안 해 게티이미지뱅크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사태로 23년째 그대로인 한국의 예금보호 한도를 둘러싼 논쟁에 불이 붙었습니다. "98% 예금자는 보호 한도인 '5,000만 원'도 없다"부터 "예보 한도를 높이면 대출금리가 높아진다"는 주장까지 제기됩니다.

팩트 체크를 통해 해당 주장의 진실을 알아보겠습니다. "예금자 98% 5,000만 원 이하": 알 수 없다 우선 98%라는 수치가 뜻하는 바가 뭘까요.

예금보험공사에 따르면, 현재 '5,000만 원 이하 예금자 수 비율'이 98%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 말이 '한국 예금자들의 예금액을 전수조사했더니 98%가 5,000만 원 이하의 예금을 가지고 있다'라는 뜻일까요.

그게 아닙니다. 각 금융회사가 자사 고객의 예금 계좌를 봤더니 5,000만 원 이하 계...



원문링크 : "예금자 98%는 5000만 원도 없다"… 과연 그럴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