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통계 노트] 가설과 유의수준


[기초통계 노트] 가설과 유의수준

1. 가설 연구에서 가설이란 연구자가 연구하고자 하는 주제에 대해 구체적이며 검증 가능 한 예측을 기술 한 것으로, 선행연구에 대한 충분한 리뷰를 통해 설계합니다.

가설에는 연구자가 증명하고자 하는 가설과 반대되는 가설로 '귀무가설' 또는 '영가설'이 있고, 연구자가 입증하고자 하는 가설인 '대립가설'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연구의 최종 목적은 이러한 '귀무가설'은 기각하고 '대립가설'이 채택되는 것입니다.

귀무가설(영가설) : 연구로 증명하고자 하는 가설과 반대되는 가설(효과 없음) 대립가설 : 연구자가 입증하고자 하는 가설 (연구 가설) 2. 유의수준과 유의확률 유의수준이란 연구 결과를 '채택 할 것인가', '기각 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의 수준은 0.1%(0.001), 1%(0.01), 5%(0.05) 입니다.

유의수준 5% 미만 이라고 하는 것은 귀무가설의 채택가능성이 5% 미만에 해당하는 수치이며, 이는 대립가설 채택확률이 95% 이상이라는 ...


#가설 #유의수준 #유의확률 #통계

원문링크 : [기초통계 노트] 가설과 유의수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