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ㅅ#30 - 소득교역조건/ 소득교역조건지수 [경제용어]ㅅ#30 - 소득교역조건/ 소득교역조건지수](https://mblogthumb-phinf.pstatic.net/MjAyMjA4MDRfMjY5/MDAxNjU5NjI0NjE0ODI3.x-Cu1MMfFy8MEcMyJ04s3L0rmQHukZLzNcgV5--iQhQg.BODAtgCLS8JjTDuwzmiC-vB5ZTXicwbF7tHwhbrZFEcg.JPEG.js_ever/g2b03868395ede2cf594f4feec6020b13a6a2a35795ee3509be963b0c7c254df674e0f9a8616.jpg?type=w2)
한국은행에서 발행하고 2020년 업데이트 된 경제용어 시리즈. ㅅ#30 - 소득교역조건/ 소득교역조건지수 46173, 출처 Pixabay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순상품교역조건에 수출물량지수를 곱하여 {(수출단가지수/수입단가지수)x수출물량지수} 산출하는 것으로서 수출 금액으로 수입을 늘릴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소득교역조건지수가 상승하였다면 금기의 수출총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능력(수량)이 좋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득교역조건 교역조건지수란 상품수출입에 따른 가격상의 유리도와 불리도가 어느 정도인가를 알아보고 또 원인을 규명하여 이를 무역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작성하고 있는 지수이다.
여기에는 수출상품과 수입상품의 가격비율을 나타내는 순상품 교역조건과 수출물량지수를 곱한 소득교역조건 등이 있다.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순상품교역조건에 수출물량지수를 곱한 것으로 우리나라가 수출해서 번 돈으로 수입할 수 있는 물량을 나타낸다.
만일 수출단가가 올라 순상품교역조건이 개선된다 하더라도...
#경제금융용어
#경제금융용어700
#경제금융용어700선
#경제용어
#경제용어700
#소득교역조건
#소득교역조건지수
#순상품교역조건
#한국은행
원문링크 : [경제용어]ㅅ#30 - 소득교역조건/ 소득교역조건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