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 공공형 노인일자리 사업 축소 추진… ‘비정하다’ 비판에 다시 검토 공공형 참여자, 초고령·저학력자 대부분… 민간·사회서비스형 참여 어려워 노인일자리 참여자, 우울 수준 낮고 의료비 지출도 적어 지난해 열린 한 '노인일자리 박람회'에서 한 참가자가 손을 꼭 쥐고 있다./연합뉴스 저소득 노인을 돕기 위한 공공형 노인일자리 사업이 내년도 예산안의 쟁점으로 떠올랐다.
정부가 내년도 예산안에서 공공형 노인일자리를 6만1000개 줄이고 숙련도가 높은 민간·사회서비스형 일자리를 늘리기로 한 것을 놓고 야당과 노인단체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노인들에게 ‘비정한 예산안’이라는 비판이 이어지자 정부와 여당도 공공형 노인일자리 축소를 다시 검토하겠다며 한 발 물러선 상태다.
정부가 공공형 노인일자리 축소에 나선 건 이 사업이 단순 ‘노인 알바’라는 부정적인 인식이 반영된 결과다. 공공형 노인일자리 사업은 만 65세 이상 노인 중 기초연금 수급자에게 월 30시간을 일하면 27만원을 지급하는 사업...
원문링크 : ‘月 27만원’ 받는 공공형 노인일자리, 노인 빈곤 개선하고 건강에도 효과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