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름값 팩트체크]고유가 시대 정유사만 횡재했다?


[기름값 팩트체크]고유가 시대 정유사만 횡재했다?

정제마진 수혜로 깜짝 실적 냈지만 석유제품 내수·수출 물량 비슷 하반기 석유 수요 하락 우려 [편집자주] 고유가가 길어지면서 기름값을 두고 '네 탓' 공방이 한창이다. 정유사들이 가만히 앉아 초과 이익을 내고 있다거나, 주유소들이 국제유가가 오를 땐 기름값을 빨리 올리고, 내릴 땐 늦게 내린다고 분통을 터뜨린다.

기회를 틈타 기름값 담합을 의심하는 사회적 분위기도 매번 반복이다. 기름값이 오르는게 내 잘못도 아닌데 항상 손가락질 받는 처지다.

기름에 포함된 세금도 과다하다는 주장도 몇 년 째 되풀이 되고 있다. 국제유가는 물론 정유사 납품부터 주유소 판매까지 가격 정보가 투명하게 공개되는 매우 독특한 시장지만, 기름값 논란은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는 현실이다.

고유가 시대 기름값에 대한 몇가지 팩트체크를 통해 석유시장의 오해와 진실을 가려본다. 고유가 시기에 정유사 실적이 고공행진을 하면서 정유사들이 '가만히 앉아 폭리를 취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기름값에 국제유가를 반영...



원문링크 : [기름값 팩트체크]고유가 시대 정유사만 횡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