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경제적자유를 얻고 세미 리타이어(Semi-Retire) 중인 푸른염소입니다.
오늘은 현대의 도시 개발 트렌드와 국내 부동산 시장을 바라봐야하는 관점에 대해 얘기해보려고 합니다. 저출산의 여파로 올해 전국 초등학교 입학생이 39만 명 수준이라고 합니다.
고령화, 경기 침체, 양극화로 인해 농산어촌 지역의 학생 수 감소는 더욱 가파르기 때문에 인구 소멸과 함께 지역 소멸이 현실화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서울, 수도권에서 생활하고 휴가철에 지방 관광지 정도만 방문해서는 표면적으로 실감하기 어려울 수도 있지만 실제로 평소의 지방 소도시에 가보면 노령 인구 외에 젊은 사람을 찾아보기 어렵고 폐업하는 상권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부동산 시장 관점에서 오랜 시간 폭락론을 얘기하는 사람들이 가장 강조했던 폭락의 이유를 들면, 역시 합계 출산율의 급격한 감소입니다. 2022년 0.778명이던 합계 출산율은 2023년 역대 최저치인 0.72명을 기록했고, 올해는 0.6명대로 떨어질 수 있...
원문링크 : 지역 소멸 시대에 살아남을 도시의 조건 "직주락(職住樂, Work/Life/P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