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unjunsky, 출처 거시경제 기초와 통화정책의 변화 1. 자본시장과 금리 구조 자본시장은 크게 주식시장과 금리시장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금리는 경제 활동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는데, 기본적으로 기준금리와 가산금리를 합하여 시중금리가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현재 기준금리가 3.25%이고 은행의 가산금리가 0.2%라면 시중금리는 3.45%가 됩니다.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2.5%)을 빼면 실질금리가 산출되는데, 이는 현재 0.95%로 계산됩니다. 중요한 점은 기준금리가 마이너스인 경우는 매우 드물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 마이너스 금리를 말할 때는 실질금리가 마이너스임을 의미합니다. 금리는 자본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시중금리에 더 탄력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기준금리입니다.
가산금리는 은행의 마진을 결정하는 요소이지만, 경제 상황에 따라 변동되는 기준금리가 시중금리에 더 큰 영향을 미칩니다. 경제가 침체될 때, 정부는 경기 부양을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
#IT버블
#통화정책
#재정정책
#자본시장
#양적완화
#서브프라임모기지
#미국경제
#금융정책
#금융시장
#금리
#경제학습
#경제학
#경기부양
#거시경제
#한국경제
원문링크 : 거시경제 기초와 통화정책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