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 python] 분산, 공분산, 상관계수 의미 제대로 알자 with python code [통계, python] 분산, 공분산, 상관계수 의미 제대로 알자 with python code](https://mblogthumb-phinf.pstatic.net/MjAyMjA0MTdfMjgw/MDAxNjUwMjA0MjQ0NjQx.guNVjUEL40YlhR37I0_fq5tVKOAnMykyTk_jCv9AFRIg.Tj2RJ2DgnxStIscr9qThgG4Rec2B5NbWyPrgnAnIWJog.PNG.hodong32/image.png?type=w2)
#분산 #공분산 #상관계수 #피어슨 #의미 #물리적 #쉽게 #python #시각화 #분포도 #그리기 #파이썬 #코드 해당 포스팅은 상관계수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주 목적은 분산, 공분산 및 상관계수에 대한 물리적인 의미를 전달하고자 합니다.
추가로 일부 수학적인 내용과, 파이썬 코드를 같이 작성하였습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각각에 대하여 다음의 의미를 가집니다.
분산= 데이터의 퍼진 정도를 나타내는 통계량. 공분산 = 데이터 간의 선형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통계량.
상관계수= 공분산의 무차원화. 해당 의미를 아신다면, 코드쪽 부분만 참고해주세요.
분산 식이 어렵다고 어렵게 생각할 필요 없습니다. 단순하게 평균에서 떨어진 정도를 정량적인 수치로 나타내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부분이 이해가 가셨더라면 한발 더 나아가 설명드리겠습니다. E는 평균에 대한 Operator인데 이는 다음과 같은 식을 통해 평균을 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X, N,P(X)는 각각 확률변수, ...
#python
#파이썬
#코드
#의미
#시각화
#쉽게
#상관계수
#분포도
#분산
#물리적
#그리기
#공분산
#피어슨
원문링크 : [통계, python] 분산, 공분산, 상관계수 의미 제대로 알자 with python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