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chastic-ML] #3 Stochastic Process Structure-시그마 대수, Borel Set, Topology.. [Stochastic-ML] #3 Stochastic Process Structure-시그마 대수, Borel Set, Topology..](https://mblogthumb-phinf.pstatic.net/MjAyMTA5MjdfMzUg/MDAxNjMyNzUyNDc1NDY0.DNzBIYtnw3-iq4O1YxJaaBfoNWY0TOIzIMle6BWI5jUg.XTFgY-XCETNxdvoXebeBn0LMphZlNN4SnVUiMkI-yX0g.PNG.hodong32/image.png?type=w2)
#Stochastic #ML #통계 #Probability #Space #시그마 #보럴 #Borel #topology 안녕하세요. 화공공대생입니다.
오늘은 Probability space에 대해서 소개드리려고합니다. 이 Probability space를 다루려면 현대수학 개념을 알아야합니다.
용어는 알아야 논문을 보거나 하는데 문제가 없죠!! <확률이란?
> 확률은 집합과 관련이 있습니다. 확률을 집합과 연관시킨다면, 집합의 크기를 예측하는 확률측도가 됩니다.
즉, 이말은 집합을 Measure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Structure of Stochastic Process> 흐음...
집합을 연산이 가능하도록 해야하는데 어떻게 해야하지 고민이 될때는 잘 아는 space로 정의 해주면 됩니다. 여기서 Space라..........
원문링크 : [Stochastic-ML] #3 Stochastic Process Structure-시그마 대수, Borel Set, Top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