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산불, 인재에서 자연재난으로…분류 전환의 배경 최근 몇 년간 대형 산불이 전국적으로 빈발하면서 산불의 성격이 기존의 ‘인재(人災)’ 중심 사회재난에서 고온·강풍·건조 등 기후변화에 기인한 자연재난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2025년 3월 영남지역에서 발생한 산불은 10만ha가 넘는 산림 피해를 남겼고 피해액도 과거에 비해 급증하는 추세입니다. 이처럼 산불이 자연재난의 성격을 띠게 되면 피해 지원과 보상 체계에도 근본적인 변화가 요구됩니다. 2.
산불 분류에 따른 피해 지원·보상 범위의 차이 사회재난(인재) 분류 시 응급복구비, 생계비 등 단기적·제한적 지원에 그침. 자연재난 분류 시 재해복구비, 재난지원금, 농작물재해보험 등 지원과 보상 범위가 대폭 확대됩니다.
재난관리기금 활용 폭도 넓어져, 피해 농가와 지역사회의 실질적 복구 역량이 커집니다. 3. 농업 부문 피해의 심각성과 지원체계 한계 산불은 과수원 육묘장 축사 등 농업 생산 기반 자체를 소실시키고 수년간 영...
원문링크 : 산불, 자연재난 공식 분류와 농업 지원체계 개편의 필요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