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해 소득 없는데, 국민연금 내야 하나요?


퇴직해 소득 없는데, 국민연금 내야 하나요?

1. 퇴직 후 국민연금 보험료, 꼭 내야 할까?

직장에서 퇴직한 뒤 소득이 없을 때 국민연금 보험료를 계속 내야 하는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퇴직자의 나이, 소득 유무, 연금 수급권 확보 여부에 따라 선택지가 달라지므로 아래에서 핵심 내용을 정리합니다. 2.

퇴직 후 국민연금 납부 의무는? 만 60세 이후 퇴직: 만 60세 생일이 지난 뒤 퇴직했다면 국민연금 보험료를 더 이상 납부하지 않아도 됩니다.

국민연금 의무가입 연령(만 18~60세)을 넘었기 때문입니다 만 60세 이전 퇴직: 만 60세 이전에 퇴직했다면 ‘지역가입자’로 전환되어 보험료 납부 대상이 됩니다. 단, 배우자가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에 가입 중이거나 연금을 받고 있다면 의무가입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3.

소득이 없을 때는? 납부예외 신청: 퇴직 후 소득이 없다면 국민연금공단에 ‘납부예외’를 신청해 보험료 납부를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이 기간은 연금 가입기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연금 수급액 산정 시 제외...



원문링크 : 퇴직해 소득 없는데, 국민연금 내야 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