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사회' 진입한 대한민국…'노인 기준 연령' 상향 논의 본격화


'초고령사회' 진입한 대한민국…'노인 기준 연령' 상향 논의 본격화

대한노인회 "노인 기준 연령 상향" 필요성 운 띄워 복지부 "본격적으로 논의하겠다"며 화답 '액티브 시니어' 시대…'옛날 65세와 다르다' "지하철 택배 일하는 노인 많아…노인 복지 줄어들까" 우려도 "안전 장치 마련하며 노인 연령 조정 논의해야" 제언 "현재 65세인 노인 연령을 연간 1년씩 단계적으로 상향 조정해서 노인 숫자를 적정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정부에 건의하겠다." (이중근 대한노인회장) "지속가능한 대한민국을 위해 본격적으로 논의하겠다."

(보건복지부 이기일 1차관) 지난해 국민 5명 중 1명이 65세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면서 노인 연령 상향 조정을 둘러싼 논의에 불이 붙었다. 대한노인회가 지난해 운을 띄우자 정부가 화답하면서 올해 '노인 기준 연령 상향'이 본격 추진될지 관심이 쏠린다.

다만 노인 복지혜택 기준, 정년연장, 연금 수급개시 연령 등 노인연령 상향과 맞물린 과제도 있어 사회적 논의가 더 필요한 상황이다. 28일 CBS노컷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대...



원문링크 : '초고령사회' 진입한 대한민국…'노인 기준 연령' 상향 논의 본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