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금 기준 되는 손해평가, 보험사가 운용하는 ‘구조적 모순’?


보험금 기준 되는 손해평가, 보험사가 운용하는 ‘구조적 모순’?

정책보험이지만 민영보험사가 ‘독점’ 운영…한계 분명한 상황 일각선 업무 할당으로 피해율 유리하게 관리한다는 의혹도 업무 배정 실적 등 보고 받지만 정부 차원 관리·감독 어려워 지난 20일 한 손해평가사가 생육장해가 발생한 양파밭에서 피해 조사를 위해 캐낸 양파를 바구니에 담아 무게를 재고 있다. 이 밭의 피해율은 50~60% 정도인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이날 피해 조사에 나선 손해평가사들은 지역 및 신원 등이 드러나는 것을 꺼려 했다. 한승호 기자 수익을 내야 하는 민간보험사가 정책보험을 독점적으로 운영 중인 점, 이에 따라 보험사 입장에서 필연적으로 손해를 줄이려 할 수밖에 없는 점 그리고 보험사 손해율과 밀접한 보험금 지급의 기준(손해평가)이 보험사 업무 지시로 이뤄진다는 점은 보험 운영 전반의 공정성에 의혹과 의문을 제기하는 근거로 작용한다.

농작물재해보험과 이를 운영 중인 단 한 개의 보험사, NH농협손해보험(농협손보)이 앞선 예시에 해당된다. 농협손보는 정책보험인 농작물재...



원문링크 : 보험금 기준 되는 손해평가, 보험사가 운용하는 ‘구조적 모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