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사연 강은나 연구위원, 치매전문교육 확대 및 시설·인력기준 강화 必 (이미지출처: 게티이미지) 치매 노인 환자 증가세에 따라 주야간보호기관도 치매전담형 장기요양기관 수준으로 시설과 인력기준, 서비스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강은나 연구위원은 최근 발간한 보건복지포럼에 기고한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치매정책 현황과 과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장기요양보험은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있는 노인과 그를 돌보는 가족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도입됐지만 치매 노인 증가와 가족부담이 사회적 문제로 확산되며 경증 치매 노인을 포괄하는 방향으로 제도 개선이 이뤄졌다. 이에 정부는 신체 기능은 양호하지만 인지 기능이 저하된 노인을 장기요양보험 수급자로 포괄하기 위해 등급판정체계를 개편하고 장기요양 인력을 대상으로 치매전문교육을 실시해 치매 수급자를 대상으로 인지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치매전담형 장기요양기관을 확대해 환자 가족을 위한 휴가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장애노인복지
#치매전담형기관
원문링크 : "주야간보호기관도 치매전담형 기관 수준으로 상향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