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와 삶] 장례 없는 이별 [문화와 삶] 장례 없는 이별](https://mblogthumb-phinf.pstatic.net/MjAyMTAxMDhfOSAg/MDAxNjEwMDkwNzExOTMz.UTBGgw-YJmhJ5Oe8zP5o1Vd9zj9DAU4NDj6k9-QGAFkg.ub85UiwLcvQbJs1ubw4Yyf-H7CFC8wr3UeDHQsCuQEwg.GIF.impear/%B0%E6%C7%E2%BD%C5%B9%AE.gif?type=w2)
코로나19는 이별의 풍경도 바꿨다. 장례식장은 한산해졌다.
상주가 장례 일정에 더하여 계좌번호를 함께 알린다. 청첩장에 계좌번호를 적어도 눈살 찌푸리던 사람들이 있었던 걸 생각하면 낯설다.
그나마 임종을 지키고 장례를 치를 수 있는 것만으로도 다행이다. 코로나19로 사망하면 장례조차 치를 수 없다.
사망 직후 화장터로 간다. 임종을 지키기는커녕 염습도 할 수 없다.
고인의 얼굴을 마지막으로 볼 기회조차 없다. 가족들마저 자가격리 중이라면 이별의 모든 과정은 생략될 것이다.
그 감정을 나는 차마 헤아릴 수 없다. 어디 사람과 사람의 이별뿐일까.오후 9시 영업제한으로 사실상 술집에 갈 수 없고 카페도 테이크아웃만 가능하..........
[문화와 삶] 장례 없는 이별에 대한 요약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 원문링크를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원문링크 : [문화와 삶] 장례 없는 이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