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을회관이 어르신들의 공동주택 역할을 하는 경우가 점점 많아져가는 이유가 경제적 요인도 있겠지만 사실 외롭기 때문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인구의 수도권 집중 현상으로 무너져 가는 인구절벽의 현실속에 농촌에는 빈집이 늘아나고 아이들 웃음소리는 고사하고 인적을 찾기 조차 힘들어진다.
아마도 이는 점점 더 가시적 사회적 문제로 더 크게 확산되어지나 뚜렷한 해법 없이 방치 아닌 방치가 되어지는 경우가 허다하게 발생되리라 여겨진다. 요즘 농막 대신 주거형 농막주택으로 농촌체류형쉼터가 아마 여러 형태로 변형 추진되리라 여겨진다.
이를 이제라도 체계적으로 군에서 마을단위 사업으로 위와 같은 공동체형 농촌 단지형 농막주택 짓기 형태로 공유 골목 정원 갖춘 농촌체류형쉼터 짓기로 해소하여 본다면 어떨까 싶다. 기존 농촌 인구도 편입시키고 새로 유입되는 도심지역 사람들 역시 유입시켜 새로운 소마을 단위로 재구성하여 보는 프로젝특로 말이다.
야심찬 공동체 마을 프로젝트가 아닌 관에서 체계적으로 구현하...
원문링크 : 농촌 단지형 농막주택 짓기 공유 골목 정원 공동체 주택단지 농촌체류형쉼터 짓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