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네 시골 고향집 전원주택 고향 시골집 단층주택 현대적 재해석 제안


우리네 시골 고향집 전원주택 고향 시골집 단층주택 현대적 재해석 제안

이번 주택을 보면서 과연 일본과 한국의 주택 경계는 무엇일까 하는 생각 마저 일게 드는 그런 우리네 정서와 부합하는 시골집이자 고향집 판박이 로서 시골 농가 단층 전원주택 소개를 담아 보았다. 퇴색되어져 가는 한국의 고유한 집에 대한 방향성은 쇠퇴하고 몰락의 길로 치닿는데 되려 어떤 면에서는 일본이 더 한국적 주택 문화에 가깝게 흘러가는것은 그 기인을 역사에서 찾을수 있을지 아니면 인정하지 않으려 하지만 정서에서 엿볼수 있는 것인지 그건 모르겠다.

적산가옥의 부정적 이미지에서 나는 일본의 목조주택을 제대로 들여다보지 못한 우를 상당히 지금에 와서야 안타깝게 여기게 되며 언제였을지 모를 관거 일본과의 교류는 비단 문화라는 측면에서 주택이라는 범주 역시도 상당하였을것을 이번 주택을 보면서 엿보게 되기도 한다. 마치 영락없는 우리네 부모님 시골 고향집이나 고향 시골집 그 자체를 현대판 재해석하여 놓은듯한 단층 전원주택 으로서 충분하다 하지 않을 수 없다.

참 좋다 하는 생각이 절로 일게하...



원문링크 : 우리네 시골 고향집 전원주택 고향 시골집 단층주택 현대적 재해석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