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균적 넓이의 파사드 뷰를 협소형으로 바꾸면서 한채를 두채로 풀어낸 그런 벽식 땅콩집 짓기 구성한 제안 뷰 이다. 아무래도 밀집도가 높은 도심지 단독주택에 2~3층 개념으로 한걸음 더 나아가 스킵플로어주택으로 다루어 본다면 보다 공간적 효율성을 살리기에 충분한 제안 아이디어가 될 듯 싶기도 하다.
밀집도가 높고 공간적 제약이 많은 도심지 서울 협소주택 형태로 위 말씀드린 제안과 함께 조합하여 풀어내 본다면 좋은 발상이 될 성 싶어 아이디어를 가미시켜 소개하게 된다. 벽식구조로 나누어져 공간의 분배가 정확히 이루어져 있으며 전면 마당을 주차장 겸 인허가를 다루어 볼 수 있기도 할 것이다.
넓이는 나누어 살피고 높이는 따져 올리면 되는 것이기에 여기에 중간 파티션벽 아래 겸용 통로를 구성하여 집 중앙까지 진입시켜 스킵플로어 조성하여 보는것도 서울 협소주택 땅콩집을 풀어내는 또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집은 자체로만 보는것이 아니라 이 집을 형태를 통해 또 다른 가능성을 엿보는것이 중요...
원문링크 : 서울협소주택 한채를 두채로 나눈 벽식 땅콩집 짓기 제안